
취업을 준비하고 있지만 고용보험이 없어 지원받을 수 없을까 걱정이신가요? 국민취업지원제도는 고용보험이 없는 구직자를 위한 정부 지원 프로그램으로, 소득이 일정 수준 이하이거나 취업이 어려운 분들에게 최대 540만 원까지 지원합니다. 특히 실업급여를 받을 수 없는 분들에게 큰 도움이 되는 제도인데요. 오늘은 국민취업지원제도의 자격요건, 혜택, 신청 방법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국민취업지원제도란?
국민취업지원제도는 고용보험 미가입자, 저소득층, 취업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취업을 돕는 종합 지원 프로그램입니다. 단순한 금전 지원뿐만 아니라, 1:1 맞춤형 취업 상담, 직업훈련, 일자리 매칭까지 함께 제공하여 안정적인 취업을 돕고 있습니다.
- 고용보험이 없어도 지원 가능
- 최대 540만 원 지급 (Ⅰ유형)
- 취업활동비용 지원 (Ⅱ유형)
- 1:1 맞춤형 취업 지원, 직업훈련 제공

국민취업지원제도 자격요건 및 지원금
국민취업지원제도는 Ⅰ유형과 Ⅱ유형으로 나뉘며, 신청자의 소득과 재산, 연령에 따라 지원 혜택이 달라집니다.
Ⅰ유형 (최대 540만 원 지원)
대상: 만 15세~69세 이하 중 아래 조건을 만족하는 구직자
- 재산 기준: 4억 원 이하 (청년은 5억 원 이하)
- 소득 기준: 가구 중위소득 60% 이하
- 만 15세~34세 청년은 가구 중위소득 120% 이하도 신청 가능
지원 내용:
- 구직촉진수당: 월 50만 원씩 최대 6개월(총 300만 원) 지급
- 취업활동을 성실히 수행하면 추가 지원 가능 (최대 540만 원)
Ⅱ유형 (최대 200만 원 지원)
대상: 만 15세~69세 이하 중 아래 조건을 만족하는 구직자
- 소득 기준: 가구 중위소득 100% 이하
- 만 15세~34세 청년은 소득과 무관하게 신청 가능
지원 내용:
- 취업활동비용: 직업훈련, 면접 비용 등을 위한 최대 200만 원 지원

국민취업지원제도 신청 방법 (온라인 & 오프라인)
국민취업지원제도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.
온라인 신청 방법
- 고용 24 홈페이지 접속
- ‘국민취업지원제도’ 검색 후 신청하기
- 본인 인증 후 신청서 작성 및 제출
오프라인 신청 방법
- 가까운 고용센터 방문
- 신청서 작성 후 제출
- 서류 검토 후 지원 대상 여부 확인
처리 기간: 신청 후 약 4주 이내 결과 통보
국민취업지원제도 신청 시 필요한 서류
- 신분증 (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 등)
- 소득 및 재산 증빙자료 (건강보험료 납부 확인서, 재산세 납부 증명서 등)
- 구직활동계획서 (고용센터에서 작성 지원)
신청자의 상황에 따라 추가 서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.
국민취업지원제도 Q&A (자주 묻는 질문)
Q1. 실업급여를 받고 있는데 국민취업지원제도 신청이 가능한가요?
- 불가능합니다. 실업급여 수급자는 국민취업지원제도 지원 대상이 아닙니다.
Q2. 고용보험에 가입된 사람도 신청할 수 있나요?
- 일부 경우 가능하지만, 원칙적으로 고용보험 미가입자를 대상으로 합니다.
Q3. 취업 후에도 지원금을 받을 수 있나요?
- 지원금 지급 중 취업하면 남은 금액은 받을 수 없습니다.
Q4. 대학생도 신청할 수 있나요?
- 취업을 준비 중인 대학 마지막 학기 학생은 신청 가능합니다.
국민취업지원제도, 꼭 신청해야 하는 이유
- 고용보험이 없어도 최대 540만 원 지원
- 청년(만 15~34세)의 경우 소득과 무관하게 Ⅱ유형 지원 가능
- 취업을 위한 1:1 맞춤 상담 및 훈련 지원
- 지원금 지급 후에도 지속적인 취업 지원 제공
취업이 어려운 분들에게 큰 도움이 되는 국민취업지원제도.
본인의 상황에 맞는 유형을 확인한 후 지금 바로 신청해 보세요.



